— 서머타임 해제와 건강의 연관성

매년 11월 첫째 주 일요일, 캐나다와 미국 대부분 지역은 시계를 한 시간 뒤로 돌리며 서머타임(Daylight Saving Time, DST) 을 해제합니다. 아침은 조금 더 밝아지지만, 저녁은 훨씬 빨리 어두워집니다. 단순한 시간 조정처럼 보이지만, 이 작은 변화가 수면, 기분, 혈압, 대사, 체중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가 꾸준히 보고되고 있습니다.
1. 생체시계의 미세한 흔들림
멜라토닌과 코르티솔 분비 리듬이 1시간만 달라져도 몸은 이를 스트레스로 인식합니다. 2023년 Sleep Medicine Reviews 논문에서는 DST 해제 후 수면 시간이 다소 늘어나지만 깊은 수면(N3 단계)의 비율이 일시적으로 줄어든다고 밝혔습니다.
실제로 해제 직후 피로감, 집중력 저하, 불면을 호소하는 환자들이 늘어나는 시기입니다. 생체리듬은 단순히 수면뿐 아니라 혈압, 식욕, 기분, 대사율까지 조절하기 때문에, 이 균형을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2. 고혈압 환자에게는 ‘조용한 스트레스’가 됩니다
봄철 시계 변경 시 심근경색이 늘어나는 것은 잘 알려져 있지만, 가을 해제 시에도 혈압 변동이 커지고 맥박이 불안정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는 시기와 겹치면서 혈관 수축과 혈압 상승이 동시에 일어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Chronobiology International 에 따르면, 시계 변경 주간에 뇌졸중 발생률이 5~10% 높아진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이 시기에는 혈압 측정과 수분 섭취를 꾸준히 관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한편, 꾸준한 체중 조절과 식습관 개선은 혈압 변동 폭을 줄이는 가장 근본적인 방법입니다.
3. 해가 짧아질수록 마음이 무거워집니다
햇빛이 줄면 세로토닌 합성이 떨어지고, 멜라토닌이 늘어나 무기력·불면·우울감이 증가하는 계절성 정서장애(SAD) 가 흔히 나타납니다. Canadian Journal of Psychiatry에 따르면, DST 해제 이후 2주 동안 우울증 진단과 항우울제 처방이 유의하게 늘어났습니다. 정서적 안정에는 리듬 있는 생활과 일정한 신체 활동이 가장 중요합니다. 규칙적인 식사와 가벼운 유산소 운동, 충분한 단백질 섭취는 세로토닌 생성을 돕습니다.
4. 체중 증가, 단순한 식욕의 문제가 아닙니다
일조량이 줄면 음식 조절 호르몬인 렙틴과 그렐린의 균형이 흔들립니다. 이 때문에 밤에 단 음식이나 간식을 더 당기게 되고, 활동량이 줄면서 대사율 자체가 내려갑니다. 이와 관련된 한 연구에서는, 가을철 계절 변화로 인한 야간 간식 섭취 증가가 BMI 상승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는 분석 결과가 있습니다. 40~50대 여성에서는 특히 이 경향이 두드러져, “늦가을부터 겨울 사이 1–2kg 체중 증가”라는 표현이 흔한 통계적 표현이 되었습니다.
5. 수면 패턴 재구성
많은 사람이 “1시간 더 잘 거다”라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취침 시간·기상 시간의 불균형이 문제를 만듭니다. 수면 전문가들은 DST 해제 전 3~5일간 매일 잠자리를 10~15분씩 늦추는 방식을 권고합니다. 또한 아침 햇빛을 최소 20분쯤 쬐면 생체리듬을 재설정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결국, 서머타임 해제는 단순히 시계가 바뀌는 일이 아닙니다. 그 변화는 우리 몸의 세포와 호르몬, 그리고 마음의 리듬 전체가 다시 적응해야 하는 과정입니다. 특히 기존에 수면장애, 고혈압, 우울증, 과체중 등의 문제가 있다면 이 시기를 가볍게 넘기지 말고 미리 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작은 변화에 귀 기울이는 것이, 계절이 바뀌는 이 시기에 가장 현명한 자기 돌봄의 시작입니다.
[컬럼니스트 : 박호연 한의사]
![]() | [ 학력 ] 경희대학교 한방재활의학 박사과정 수료 건양대학교 운동처방학 석사 동국대학교 한의학과 한의사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iences(Spain) 오스테오파시 박사 National Academy of Osteopathy(Canada) 오스테오파시 디플로마 |
| [ 경력 ] 피트니스 한의원 대표원장 National Academy of Osteopathy 한국대표 가압운동(KAATSU) 스페셜 리스트 건강운동관리사(구 생활체육지도자 1급) 대한 스포츠 한의학회 팀닥터 움직임 진단 (SFMA, FMS) LEVEL 2 |





